학과 전공 가이드 바로가기
전공 가이드 보기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건설시스템공학과 자연과 문명의 조화, 아름다운 세상의 건설
[건설] 측량학및실습, 건설산업및취업전략 여석관련 안내드립니다.
* 측량학및실습 여석문의가 많아 안내드립니다. -> 이종달 교수님께서 수업 듣고 싶은 학생들이 수강신청 할 수 있게 10자리씩 여석을 열자고 하셔서 수강신청 마지막날(2/13) "오전 11시"에 여석(0733,0734) "각각 10자리"씩 여석이 열리니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측량학및실습 여석 늘릴 시 수강인원 : 30 -> 40 으로 변경 * 건설산업및취업전략 여석문의가 많아 안내드립니다. -> 건설산업및취업전략(0747) 전병곤 교수님께서 학생들 문의가 많아 여석 10자리 열자고 하셔서 수강신청 마지막날(2/13) "오전 10시 30분"에 여석(0747) "10자리" 열리니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건설산업및취업전략 여석 늘릴 시 수강인원 : 35 -> 45 으로 변경
2025.02.12
[건설] 2025학년도 1학기 강의시간 변경, 추가 분반개설 안내드립니다.
상수도공학과 창의종합설계(1) 수강꾸러미신청 인원이 많아 추가로 분반개설(A,B)할 예정입니다. 상수도공학 교과목이 분반개설 되면서 토질역학(A반) 강의시간 변경 안내드립니다. 번호 변경 전 변경 후 비고 1 상수도공학 월 8B-9B 수8B-9B 상수도공학(B) 월 8B-9B 수 8B-9B (추가) 상수도공학(A) 월 7A-8A 목 2B-3B 수강꾸러미 인원이 많아 분반개설함 2 토질역학(A) 월 7A-8A 목 2B-3B 토질역학(B) 화 7A-8A 목 7A-8A (변경) 토질역학(A) 월 8B-9B 수 8B-9B 토질역학(B) 화 7A-8A 목 7A-8A 상수도공학 분반개설됨에 따라 강의시간 변경됨 3 창의종합설계(1) 금 1A-4B 창의종합설계(1) 금 1A-4B (추가) 창의종합설계(1) 금 6A-9B 수강꾸러미 인원이 많아 분반개설함 * 상수도공학, 토질역학 교과목 본인 분반에 맞게 수강신청 하시기 바랍니다. (분반지정0) 수강 신청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2.07
[대학혁신지원사업] 2025학년도 교양교과목 권장 로드맵과 오프라인 박람회 및 컨설팅 안내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천마학부대학에서 개발한 <2025학년도 교양교과목 권장 로드맵>(붙임파일)을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확인 후 “만족도 조사” 참여 부탁드립니다. 설문조사 기간: 2025.1.18.(토) ~ 2.7.(금)까지 ※만족도 조사 참여 링크: https://forms.gle/DvZMTSraibmEjght7 1. 목적 가. 학부(과)별 진로 맞춤형 교양교과목 권장 로드맵을 개발 나. 교육수요자 중심의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제시 2. 주요내용 가. 각 학과별 교양 필수과목과 권장 교양 선택과목 제시 나. 학교 YU CAN시스템에서 도출한 희망진로 데이터 제시 다. 학과별 취득 가능 자격증과 졸업 후 진로 제시 라. 2025학년도 교양교과목 수강신청 및 교양교과목 안내 3. 로드맵 오프라인 박람회 및 컨설팅 실시 가. 일시 : 2025. 2. 3.(월) ~ 2. 7.(금) 10:00-17:00 나. 장소 : 중앙도서관 1층 로비 다. 대상자 : 본교 재학생(2025학년도 신입생 포함) ※ 로드맵 책자 선착순 90부 배부 예정 라. 문의사항 : 천마학부대학 053-810-1633~4
2025.02.05
[현장실습지원팀] 공기관 2025-1학기 국내 표준현장실습학기제 현장실습생 모집 안내 (2/7 신청마감)
아래의 공기관에서 2025-1학기 국내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실습생을 모집 진행중(2/7까지) 입니다 관심있는 학생들은 urp 접속해서 상세요강 확인하시고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1. 모집요강 (URP-현장실습관리-기업신청서관리 에서 상세요강 확인 가능) 연번 실습기관명 학점인정학기 운영과정 교육과정구분 학점인정 URP 기업신청번호 모집정원 모집학과 모집마감일 신청정보 바로가기 1 한국부동산원 2025-1학기 학기과정 장기(12주이상) 9학점 65442 4명 통계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과 2025-02-07 현장실습생모집 - 영남대학교 취업및현장실습지원팀 2 대구도시개발공사 2025-1학기 2025-여름학기 방학/학기 연계과정 장기(16주이상) 중기(8주이상) 12학점 6학점 65382 65383 2명 1명 행정학과 건축학부 2025-02-06 현장실습생모집 - 영남대학교 취업및현장실습지원팀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5-1학기 학기과정 장기(16주이상) 12학점 65422 2명 건설시스템공학과, 환경공학과, 공과대, 자연과학대 2025-02-07 현장실습생모집 - 영남대학교 취업및현장실습지원팀 * 현장실습관련 문의 : 현장실습지원팀 053-810-4584
[건설시스템공학과] 합격을 축하합니다. (한국도로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농어촌공사)
2025.01.22
🎊영남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기업이 뽑은 최우수 학과 선정🎊 [2022-12-13]
‘202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 토목분야(건설시스템공학과) 최우수 선정 2009년부터 산업계관점 최우수 학과 꾸준히 배출 바이오의약·정유석유화학·전자반도체·정보통신·기계(자동차)·건축(시공)·환경 등 [2022-12-13]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가 기업이 뽑은 최우수 학과에 선정됐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이 발표한 ‘202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에서 영남대 건설시스템공학과가 토목 분야 최우수 학과에 이름을 올렸다. 영남대 건설시스템공학과는 2012년에 이어 두 번 째 최우수 학과로 선정되며 교육과정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공인받았다.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기업들이 직접 학과를 평가한다. 산업계와 대학 간 소통을 확대하고,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양성을 위해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미래인재 양성을 위하여 신산업 분야 평가를 추가하였으며, 기업연계 현장실습, 취업 연계 교육과정 개설, 산업체와 업무협약 체결 등 대학의 자체적인 산학협력 모델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표에 반영하였다. 올해는 정보통신, 토목, 인공지능, 스마트팩토리 총 4개 분야에서 26개 대학, 42개 학과를 대상으로 평가했다. 이번 평가는 LG유플러스, LG화학, SK텔레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현대엔지니어링 등 22개 기업 등 산업계와 대학 관계자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실시했다. 평가위원회는 산업계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 운영 및 성과 등 3개 영역을 중심으로 평가했다. 최우수 평가를 받은 대학은 교육부, 경제5단체, 한국공학교육인증원 공동명의의 인증패가 수여된다. 영남대는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 금속철강, 신소재, 건축(시공), 일반기계, 기계-자동차, 전자공학-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소프트웨어, 정유석유화학, 환경, 바이오의약, 식품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2009년부터 꾸준히 최우수 학과를 배출해 오고 있다.
2023.05.03
[대한경제] “교량 안전, 별도 기구 만들어 근본적으로 재점검해야”
“교량 안전, 별도 기구 만들어 근본적으로 재점검해야” - 대한경제 (dnews.co.kr) [인터뷰] 이재훈 영남대 교수(한국 교량 및 구조공학회장) “원인규명 위해 현장보존 필요, 새로 짓는 것 능사 아냐” 국내, 안전문제 점수로 평가하고 전관예우도 문제 지적 정부 대규모 안전진단 조치, 전문인력‧시간 부족 우려 정부 기관 대신 독립단체인 학회에 조사 맡기는 방법도 제시 [대한경제=박병탁 기자] “교량 안전과 유지관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점검할 특별위원회를 만들어서 냉정하게 원인을 규명한 후 대책을 세워야 한다.”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 회장인 이재훈 영남대 교수(건설시스템공학과)는 1일 <대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지금처럼 안전점검을 하고 문제가 생길 때마다 부수고 새로 짓는 방식으로는 해결이 안 된다. 무엇이 잘못인지도 모른 채 또 사고가 나게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5일 경기 성남시 정자교를 비롯해 야탑10교(2018), 올림픽 청룡교(2010) 등 잇따른 교량 붕괴사고에도 대책은 그때마다 땜질식이란 평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선진국처럼 사고조사 기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전문가를 투입해 조사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2007년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I-35W 교량 붕괴사고는 사고조사에 15개월이 소요됐지만, 2017년 8월 평택 국제 대교 붕괴사고 조사는 5개월여에 불과했다. 이 교수는 사고 후 철거에도 쓴소리를 했다. 그는 “관리 주체는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불안감 해소를 위해 철거를 우선시하지만 이래선 안 된다”며 “원인규명을 위해 현장을 보존한 후 이음부와 철근 부식으로 인한 피복 콘크리트 정도 등을 조사해 데이터를 얻어야 한다. 부수고 새로 짓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조사의 전문성도 거론했다. 정자교 붕괴 후 정부는 지난달 17일부터 6월16일까지 교량ㆍ터널을 포함한 전국 2만5000여곳의 노후 및 고위험 시설에 대해 집중 안전점검을 시행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전국 지자체가 교량을 점검한다는데 이렇게 동시에 점검하기에는 국내 전문가들의 맨파워(숙련된 인력)와 맨아워(노동수용력)가 부족하다. 사실상 인턴한테 일을 맡기는 격”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정자교 사고조사만 해도 국토부 산하 국토안전관리원이 조사를 진행하는데, 미국은 이렇지 않다. 우리 국토부 격인 연방교통부에 속하지 않은 별도 조직인 국가운송안전위원회를 꾸려 조사한다”며, “별도의 독립된 기구가 조사 주체가 되어야 한다. 행정적 조직을 신설하는데 비용이 수반된다면, 학회에 맡기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무엇보다 안전관리 업체 선정의 중요성도 역설했다. 이 교수는 “지진이 많은 캘리포니아에서는 내진보강을 아무에게 맡기지 않는다. 발주처에서 전문업체 몇 곳을 불러 공무원과 협의 후 선정하는 소위 수의계약으로 진행된다. 진짜 전문가를 찾아 맡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는 설계ㆍ시공ㆍ가격 등을 통한 점수제인데 안전문제를 점수로 평가하는 것이 맞는지는 생각해 볼 문제”라며 “진단회사에는 전직공무원 출신들이 포진해 있어 전관예우도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교수는 정자교 붕괴 원인으로는 철근의 겹침이음이 하중을 많이 받는 도로부와 보도부 사이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라고 조심스럽게 추정했다. 그는 “정자교 도면을 입수해서 봤더니 보도부와 차도부 사이에 철근 이음(정착)이 집중돼 있었다. 시공을 간편하게 하려고 차도 부분까지 철근을 배치하고 보도부 캔틸레버는 추가로 연결하는 방식을 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재훈 영남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사진 : 이재훈 교수 제공 ◇이재훈 교수는 서울대 공과대학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공학박사 과정을 밟았다. 삼성건설과 한국지진공학회 토목내진설계위원장, 대한토목학회 콘크리트구조 위원장, 국가건설기준센터 건설기준위원회 콘크리트기준위원장, 제16대 한국콘크리트학회장 등을 거쳐 제12대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장 등을 역임하고 있다. 박병탁 기자 pp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조선일보 칼럼] [기고] 정자교 붕괴 사고, 이대로는 계속될 것이다
[기고] 정자교 붕괴 사고, 이대로는 계속될 것이다 (naver.com) 정자교 붕괴 사고 후 전국의 지자체는 즉시 노후 교량에 대한 긴급 안전 점검을 실시했다. 중앙정부 각 부처도 자료를 작성하느라 바쁘다고 한다. 시설물이 붕괴되면 늘 그랬듯이 이런 사후 조치가 시행된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유사한 사고가 날 때마다 긴급 안전 점검을 했지만, 심각한 문제를 발견하여 붕괴를 예방한 사례가 있었는지 의문이다. 관련 공직자들은 해야 할 일을 열심히 하고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이런 사후 조치의 반복으로는 붕괴 사고를 예방하기 어렵다. 긴급 안전 점검의 실효성에 의문을 갖는 이유는 전문성 부족 때문이다. 시설물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 진단하는 일은 설계나 시공보다 더 어렵기 때문에 최고 수준의 전문가가 아니면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다. 보는 눈이 있어야 문제가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조물 안전 진단은 공학박사나 구조기술사 수준으로 전문 지식을 공부하고 실제로 적용한 경험이 많은 전문가의 책임하에 수행되어야 하는 업무이다. 갑자기 짧은 기간에 전국의 수많은 노후 교량을 긴급히 안전 점검하려면, 전문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험이 부족한 인력도 동원할 수밖에 없다. 마치 긴급히 전국 노인들의 건강 이상을 살펴봐야 하는데 전문 의료인이 부족하니 수련의에게도 진단을 맡기는 꼴이다. 성수대교 붕괴 사고 후 1995년 1월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같은 해 4월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이 설립되었다. 이 공단은 현재 ‘국토안전관리원’으로 개명되었고, 특별법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으로 확장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 특별법에 따라 민간 유지 관리 업체에 안전 점검을 위탁하여 대행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수준 높은 안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인력을 보유한 민간 유지 관리 업체가 극히 드문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선진국에서도 교량 붕괴 사고는 발생한다. 2007년 미국 미네소타주 I-35W 고속도로 교량, 2018년 이탈리아 모란디(Morandi) 교량, 2019년 프랑스 미르푸아 쉬르 타른(Mirepoix-sur-Tarn) 교량의 붕괴 등이 그 사례이다. 그러나 사고 후 어떻게 후속조치를 실행하느냐와 평소에 어떤 사람들이 어떻게 관리하느냐는 선진국과 후진국이 크게 차이가 난다. 국민들이 안전하게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게 하려면 우리 방재 시스템의 골격을 선진국 형으로 바꾸어야 한다. 그러려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주목하여 개선책을 찾아야 한다. 첫째, 사고 조사의 주체가 다르다. 2007년 미국 I-35W 교량 붕괴 때는 관리 주체인 미네소타주 교통국(Department of Transportation, DOT)이나 연방 고속도로관리국을 두고 있는 연방 교통부에 속하지 않은 별도 조직인 국가운송안전위원회(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가 조사했다. 그 이유는 관련 기관과 조금이라도 관계가 있는 기관은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객관성에 대한 의심을 피하려는 의도도 있다. 우리나라는 시공 중에 발생하는 붕괴 사고에 대하여는 별도의 건설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지만, 사용 중인 시설물의 붕괴 사고는 국토교통부의 산하 기관인 국토안전관리원이 조사한다. 둘째, 사고 조사의 기간, 범위, 수준이 다르다. 2017년 평택국제대교 붕괴 사고의 조사 보고서는 5개월 후 완성되었다. 반면에 미국 I-35W 교량 붕괴 사고 조사 보고서는 1년 3개월 후 완성되었으며, 2001년 9·11 테러로 인한 뉴욕 세계무역센터(WTC) 건물 붕괴의 최종 조사 보고서는 2005년에 발간되었다. 이것은 조사의 범위와 수준 차이 때문이기도 하다. I-35W 교량 붕괴 사고 조사 보고서는 구조 설계의 미비점, 설계 때 예상하지 못한 하중 증가, 강재 부식에 의한 저항 성능 감소 등 기술적인 원인 분석뿐만 아니라 또 다른 관점의 원인 분석도 포함되어 있다. 즉, 기술적 문제에 대한 미네소타 교통국과 설계사 사이의 협의와 승인 내용, I-35W 교량의 피로 균열에 대한 미네소타대학의 연구 결과, 안전진단업체의 보고 내용, 미네소타 교통국의 조치 내용 등 설계 이력과 안전 점검 이력, 지적 사항, 후속 조치의 내용을 담음으로써 무엇이 부족했는지 검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 안전 점검 매뉴얼의 미비 항목을 적시하는 한편, 연방 고속도로관리국과 교량 설계 기준 관리 기관에 개선 권고 사항을 제시하였다. 셋째, 여론의 형성 과정이 다르다. I-35W 교량의 붕괴 현상만을 보도하고,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의 의견을 인용하며 붕괴 원인을 추측 보도하는 일 따위는 하지 않던 언론은 조사 내용이 조금씩 알려지자 본격적인 취재에 들어갔다. 그러고는 미네소타주 교통국 엔지니어들이 여러 차례 I-35W 교량의 보수 보강 공사가 시급하다고 보고했음에도 주정부가 이를 행하지 않았다고 보도하였다. 또 교량의 유지 관리 예산을 줄이고 자신의 정책을 집행할 예산을 늘린 주지사의 판단이 붕괴 원인이라며 공학적 판단에 정치가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보도하였다. 물론 사망자 13명과 부상자 145명이 발생한 I-35W 교량의 붕괴 사고로 사법 처벌을 받은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 외에도 진단 업체의 선정 방법, 입찰 자격 제한, 유지 관리 예산 수준, 담당 공직자의 업무와 교육 및 경험 수준 등 차이점이 많지만, 큰 비용 없이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위 세 가지만이라도 빨리 개선한다면 안전 확보의 새로운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정자교 붕괴 사고 후 정부와 정치권에서 어떤 사후 대책을 내놓는지 국민이 지켜보아야 한다. 이재훈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 회장,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2023.04.25
[Korean Language Exemption] 2025-전기 한국어시험 면제 신청 안내
2025학년도 전기 대학원 한국어시험 면제 신청 공고문 Notice on Graduate School Korean Language Test Exemption Application for 2025 Spring 우리 대학원의 외국인 학생(외국 국적 학생)은 학위청구논문 제출(논문대체 포함) 자격시험으로 한국어시험에 합격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이 한국어시험 면제 신청 요건을 안내하오니 대상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The international students (foreign national students) in our graduate school must pass a Korean Language Test as a qualification for submitting their degree thesis (including non-thesis project). We would like to inform you of the requirements for applying for an exemption from the Korean Language Test as follows, so eligible candidates are encouraged to apply. 1. 신청 기간 : 2025.2.14.(금) 09:00 ~ 2.19.(수) 17:00 Application period: Feb. 14, 2025 (Fri) 09:00 – Feb. 19, 2025 (Wed) 17:00 2. 신청 대상 Applicants 가. 외국인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International Students 나.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중 외국 국적인 학생 Foreign national students 3. 신청 자격 요건 Eligibility Requirements 1) 2025학년도 1학기 신입생 및 등록을 필한 재학생 Admitted students and/or enrolled (tuition paid) students for spring 2025 2) 수료생 Students who completed coursework 4. 한국어시험 면제 자격 Qualification for the exemption of Korean language test 1) TOPIK 4급 이상(예체능계열 3급 이상) 성적을 취득한 자 Official test score holders of TOPIK level 4 or higher (arts and kinesiology : Level 3 or higher) 2) 한국어특강을 이수하고 합격한 자 : 면제신청 대상 X (자동 면제) (2A 이상 수강하고 합격한 자) Students who have taken the special Korean classes from the YU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obtained passing marks 2A level or higher (automatically exempted, not required to apply) 3) 한국어정규과정(3급 이상)을 이수하고 합격한 자 Students who have taken the regular Korean classes from the YU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obtained passing marks in level 3 or higher 4) 한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자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Korea 5)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또는 사전평가 81점 이상 (예체능계열 3단계 이수 또는 사전평가 61점 이상) Completion of stage 4 in the Korea Ministry of Justic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r a pre-evaluation score of 81 or higher (arts and kinesiology : completion of stage 3 or a pre-evaluation score of 61 or higher) 6) TOEFL iBT 71 이상 성적을 취득한 자(영어트랙 입학자만 해당) Official test score holders of TOEFL iBT 71 or higher(English track students only) 5. 신청(면제) 방법 How to apply Exemption of the Test 1) [공인성적취득자] : 웹(URP종합정보) → 졸업관리 → 한국어시험신청 →과목명 중 “TOPIK" 선택 → 성적 입력 → 신청서 출력 + 공인성적표(2025.3.1.기준으로 시험일(Test date)이 2년 이내인 성적표) → 대학원 제출 [Official test score holders]: Web(URP) → Graduation → Application for Korean Language Exam → Select “TOPIK" → Enter your test score → print out the application form → submit both the application and the official test score sheet(Test date must be within 2 years from Mar. 1, 2025) to Graduate School 2) [한국에서 학위취득자] : 웹(URP종합정보) → 졸업관리 → 한국어시험신청 → 과목명 중 “한국어면제” 선택 → 신청서출력 + 졸업증명서 → 대학원 제출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Korea]: Web(URP) → Graduation → Application for Korean Language Exam → Select a“한국어면제 Exemption of Korean Test” 선택 → print out the application form → submit both the application and the certificate of graduation to Graduate School] 3) [한국어정규과정(3급 이상)을 이수하고 합격한 자] : 수료증 제출(대학원 제출) [Students who have taken the regular Korean classes from the YU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obtained passing marks in level 3 or higher] : submit the certificate of completion to Graduate School 4)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또는 사전평가 81점 이상(예체능계열 3단계 이수 또는 사전평가 61점 이상)] : 이수증 또는 평가성적증명서 제출(대학원 제출) [Completion of stage 4 in the Korea Ministry of Justic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r a pre-evaluation score of 81 or higher (arts and kinesiology : completion of stage 3 or a pre-evaluation score of 61 or higher)] : submit the certificate of completion and/or the official test score sheet(Test date must be within 2 years from Mar. 1, 2025) to Graduate School ※ 한국어특강을 이수하고 합격한 자 및 2025 전기 신입생 중 입학서류에 공인성적표를 제출한 자는 별도의 면제신청이 필요 없음.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for the Exemption of Korean Language Test in following case that: (1) Students who have already taken the special Korean classes from the YU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obtained passing marks (2) Students who have been admitted to Graduate School in Spring 2025 and submitted the official TOPIK test score 6. 합격자 발표 : 2025.3.13.(목), URP종합정보에서 개별 확인 Notice of test results : You can get your test result on the URP system on Mar. 13(Thu.), 2025
2025.02.14
2025-1학기 석사 논문/논문대체 학위청구방법 신청 및 변경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석사학위과정 4기 진학 예정자는 본인의 학위청구방법을 신청하여야 하며, 석사학위과정 수료생 또한 학위청구방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학위청구방법을 신청/변경하고자 하는 석사학위과정 학생은 아래 내용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1. 석사학위청구방법 신청 및 변경 대상자 - 3개 학기를 이수한 석사학위과정 재학생(2025-1학기 수업연한 최종학기 진학 예정자) ※ 5년제 학석사연계과정 예비생 또는 학석사 상호인정과목 이수 입학자는 2개 학기 이수한 재학생 - 석사학위과정 수료자 중 논문대체학위취득을 신청하고자 하는 자 - 논문대체학위취득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학과에 한함([붙임2] 참고) 신청기간 2025-1학기: 2025.2.3.(월) 10:00 ~ 2.7.(금) 17:00 2. 신청 및 변경 방법 가. 최초신청자: URP - 졸업관리 - '학위취득방법신청'에서 논문/대체학점 중 선택 후 신청 나. 변경신청자: URP - 졸업관리 - '학위취득방법변경'에서 신청 ※ '논문대체' 신청(변경)자는 신청서 출력 및 교수 날인하여 대학원학사팀 제출 ※ 세부내용 [붙임3] 참고 3. 석사학위취득요건 가. 학위청구'논문' 신청자: 학위청구논문 제출 후 논문심사 통과 나. '논문대체'학위 신청자: 아래 항을 모두 충족 1) 학위과정 수료에 필요한 등록횟수 충족 2) 학과별 수료기준 및 학점기준(교과목24, 연구윤리1, 연구학점6) 충족 3) 2)의 학점기준에 전공 3학점을 추가하여 총 27학점 이상의 이수학점 (전공 9학점 이상)과 논문대체 3학점을 취득 4) 학위청구자격시험 합격 ※ 세부사항 [붙임1]참고 4. 수강신청 가. 수강신청기간: 2025.2.11.(화) 10:00 ~ 2.13.(목) 17:00 나. 수강신청방법 1) 재학생: 수강신청시스템 2) 수료생: [붙임4] 수강신청(변경)서 양식 작성 후 제출(단독 수강신청 불가) ※ 지도교수, 주임교수 사전확인 필수 다. 수강신청과목 1) '논문대체'교과목 수강신청: 지도교수 상담 및 사전 개설 요청 필수 2) 기취득학점 및 부족학점 확인 후 수강과목 결정하여 추가 교과목 신청(2025-1학기 개설 교과목에 한함) 5. 등록금 납부 가. 납부기간 1) 재학생: 2025.2.18.(화) ~ 2.20.(목) 16:00 2) 미납부 재학생 및 수료생: 2025년 3월 중 예정 나. 수료자 등록: 학적상태가 수료인 학생이 논문대체 학위취득을 위해 논문대체신청을 하고 과목을 추가 이수하는 경우 학점단위 등록금 납부 ('논문대체' 3학점 포함) 다. 등록금고지서 출력방법(수료생은 수강정정기간 이후 출력 가능) : URP-등록관리-등록금고지서출력 붙임 1. 2025-1 논문대체학위취득제도 시행 안내문 1부 2. 2025-1 논문대체학위취득제도 시행 학과 현황 1부 3. 논문대체학위취득 신청 및 변경방법 1부 4. 수강신청(변경)서 양식 1부. 끝.
2025.01.31
[논문] 2025-1학기 대학원 학위과정 지도교수 제청 및 변경 안내
(사전에 지도 받고 싶은 교수님 또는 대학원 학과 주임교수님과 상의한 후 해당 기간에 학과 사무실에 방문 또는 전화(붙임파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학과 학생들과 정보 공유를 부탁합니다 - 2025학년도 1학기 대학원 학위과정 지도교수 제청 및 변경 안내 2025 1st semester submission of ‘nomination (or change) of an academic advisor 대학원생의 논문 지도 등을 위해 다음과 같이 지도교수 제청 및 변경을 요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To guide graduate students’s thesis etc, they should ask for academic advisor and academic advisor’s change as follows 1. 지도교수 제청대상 학생 Students who need the nomination of academic advisors 가. 석사 및 석·박사통합과정 : 2기생(필요에 따라 1기생도 제청 가능) Master and Joint MA/MS/PhD degree courses : 2nd semester student (1st semester students as occasion demands.) 나. 학석사연계과정(학석사상호인정과정) 및 박사과정 : 1기생 Joint Bachelor and Master and Doctor degree courses : 1st semester student 2. 지도교수 변경원 제출대상 교수 : 현재 지도학생의 교수가 퇴직 및 휴직한 경우 또는 기타 사유로 학생지도가 불가하거나 규정에 의해 공동지도하여야 하는 지도교수 Professors who need to submit ‘change of academic advisor form’ Professors who can't supervise students because of retirement, leave of absence Professors who should supervise students as co-advisers under the specified provision. 3. 지도교수 제청 및 변경 요청 기간 Period of Requirement 구 분 Type 요 청 기 간 Period of Requirement 요 청 처 Where to Requirement 비 고 note 지도교수 제청 Nomination of an Academic Advisor 2월 3일(월) ~ 2월 10일(월) Feb. 2(Mon.) ~ Feb. 10(Mon.) 각 학과 사무실 Department’s office 학과단위로 일괄 작성 The form is en bloc filled out by the department 지도교수변경원 Change of an Academic Advisor * 각 학과사무실 방문 또는 전화상으로 자신이 지도받고 싶은 교수님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Please visit the department office or call the department by telephone to ask the professor you want to teach. 4. 지도교수 자격 Qualification of an academic advisor 구 분Type 자 격 Qualification 단독지도교수 정년계열 전임교원 (휴직교원 및 제청/변경 신청일 기준 정년이 2년 미만인 교원 제외) Tenure Track faculty (Leave of absence Faculty and Faculty who are less than 2 years of retirement on the date of application are excluded.) 공동 지도 교수 A 정년계열 전임교원 (휴직교원 및 제청/변경 신청일 기준 정년이 2년 미만인 교원 제외) Tenure Track faculty (Leave of absence Faculty and Faculty who are less than 2 years of retirement on the date of application are excluded.) B 전임교원, 명예교수(퇴직후 5년 이내까지 가능), 객원 및 겸임교원, 타대학교원, 연구기관의 연구원 등 Full-time(include contract based) faculty, honorary professor (within five years after retirement.), visiting faculty, adjunct faculty, other university faculty and researchers from university outside research institutions etc.
[수업] 2025-1학기 대학원 보충과목 이수신청 변경원 제출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대학원 보충과목 이수신청 변경원을 다음과 같이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제출기간 : 2025.2.3.(월) ~ 2.7.(금) 17:00까지 2. 제출대상 : 재학생 중 보충과목 변경이 필요한 학생 3. 제출방법 : 학생이 대학원학사팀으로 변경원 제출 4. 보충과목 이수 변경 관련 유의사항 가. 입학 당시 지정된 보충과목은 가급적 변경을 지양하며 불가피하게 변경이 필요한 경우 지도교수와 학과 주임교수의 지도를 받아 변경사유를 상세히 기술하여 제출함 나. 보충과목은 해당 학과의 전공과목으로 지정하여야 함 붙 임 보충과목 이수신청 변경원 양식 1부. 끝.
입학정보
학과 교육과정
대학원 교육과정
212025.02
세진이엔씨 신입사원 채용관련 안내드립니다.
첨부파일 확인하시고 관심있는 학생들은 많은 지원바랍니다. 금번 토질부 신입사원(1명)을 채용 예정이오니 졸업생에게 홍보 부탁드립니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와 같이 회사관련 자료를 보내드리오니 많은 홍보 및 관심 부탁드립니다. 문의사항 있으시면 아래 명함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025.02
한국it교육원 융합_AI 미래형모빌리티 채용연계 부트캠프
K-디지털 트레이닝 2025 상반기 신기술 ‘미래형 모빌리티’ 분야 대구 유일 과정! 미래형 모빌리티 AI 전문가로 미래를 선점하세요! (선착순 선발 20명) - 융합_AI 미래형모빌리티 (실증도로·로봇·UAM) 채용연계 부트캠프 참가자 모집 교육기간: 2025년 03월 28일 ~ 2025년 9월 29일 교육시간: 09:00~17:30, 월금 (980시간) - 주요 기술 습득 자율주행 및 미래형 모빌리티(ROS 기반 제어, 센서 융합, SLAM 및 경로 계획 활용) 자율주행 ADAS개발(컴퓨터 비전과 Python/C++로 실시간 객체 검출 및 제어 구현) 교통 데이터 분석 및 AI 기반 모빌리티 최적화 알고리즘 구현(ML/DL 모델과 시뮬레이션 툴을 통한 수요 예측 및 교통흐름 개선) 딥러닝을 활용한 컴퓨터 비전 및 객체 탐지 모델 개발(OpenCV, PyTorch, TensorFlow로 영상처리 파이프라인 구축 및 경량화 모델 적용) 실증도로 데이터 수집·분석 및 시뮬레이션 활용 - 수강혜택 우수 훈련생 취업 연계 및 서류 전형 면제 기회 제공 협력 기업 및 모빌리티 산업 네트워크 지원 수강료 전액 지원 참여수당 월 최대 80만 원 지급 취업특강, 상담, 1:1 취업 코칭 등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 모집대상 - 대학교 3~4학년 (졸업예정자, 졸업자, 휴학생 포함) -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가능자 (2년 이내 졸업가능자, 구직자 등) - 취업분야: 자율주행 SW 엔지니어, 모빌리티 AI 연구원, 교통 데이터 분석가, 로봇 SW 개발자, UAM(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스템 개발자, IoT 기반 스마트 모빌리티 개발자, 실증도로 기반 스마트시티 엔지니어 등 - 문의 및 상담 교육장소: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566 (신암동) 한국IT교육원 교육운영부 신동욱 교육실장 (053-952-0008) 카카오톡 상담 문의 가능 http://pf.kakao.com/_mFSrV 신청링크: https://www.hkit.kr/p/?j=52&edu_code=Vmtaa2QxWnJNVkpRVkRBOStN ※ 해당과정은 대면(오프라인) 강좌 입니다.
[한국상하수도협회] 환경부 제33기 물산업 미래인재 양성과정 교육생 모집(~3.12) 안내드립니다.
환경부에서 주관하고 협회에서 운영하는 제33기 물산업 미래인재 양성과정이 4월에 개강함에 따라, 학과 내 홍보를 부탁드리고자 메일드리게 되었습니다.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인 우리 협회는 '09년부터 국내 이공계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물산업 미래인재 양성과정(舊 P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교육과정은 이론교육(2개월)과 더불어 물기업 현장교육(3개월)을 진행하여 실무중심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해 CAD 실습교육, 직무 인적성 검사, ESG 프로젝트, 해외견학지원(상위 10% 우수교육생) 등 전액 국비지원으로 진행하고 매달 소정의 지원금 지급 및 지방 거주자들에게는 체재지원비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졸업예정자와 졸업생들에게는 취업의 기회를, 재학생에게는 진로길잡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위 과정에 귀교의 우수한 인재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 모집기간 : 2025. 3. 12.(수)까지 □ 교육기간 : 2025. 4. 7.(월) ~ 8. 22.(금), 총 20주 □ 교육내용 : 물산업 이론교육(8주) + 물기업 현장교육(12주) ※ 세부내용 붙임 1, 2 참고 □ 교육특전 : 전액국비지원, 기업 인턴십제공(3개월), 성적우수자 환경부장관상 수여, 해외견학지원(상위10%미만) 등 □ 신청방법 : 붙임3의 신청서를 작성하여 구글폼 제출 >> https://forms.gle/GLmUhFrqfiWe4CBu9 □ 관련공고 : 한국상하수도협회 공지사항 >> 한국상하수도협회 기타 궁금한 사항 있으실 경우 02-3156-7876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152025.01
[(주)한국사설안전연구원] 2025년 한국시설안전연구원 안전진단 신입 채용 공고 안내드립니다.
관심 있는 학생들은 많은 지원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지원양식, 채용공고) 확인바랍니다.
022024.09
2024학년도 2학기 공학교육인증 이수 포기 신청 안내
공학교육인증 포기 신청 가. 대상 : 다른 전공을 복수로 이수 신청한 학생 (복수전공, 부전공, 학생설계전공, 융합전공, 연계전공, 마이크로전공 등) 나. 4학년 1학기 수업일수 1/4 이전에 소속 프로그램위원장이 이수 포기를 허가한 학생 다. 신청 조건 : 졸업이 한 학기 이상 남은 학생 라. 제출 서류 공학교육인증 이수포기서 서식 (학과 사무실 방문 후 이수포기서 작성) 마. 제출 기한 : 2024.9.30.(월) 이전
232024.05
[ABEEK]건설시스템공학프로그램 안내 자료(2023.11.13 수정)
건설시스템공학과 학과 이수 관련 정정 내용 안내드립니다. -졸업모의사정에 있는 모든 필수 교과목 이수, 최소이수학점 충족(학사, ABEEK), ABEEK 필수 교과목 이수 - ABEEK은 2026년 2월 졸업생까지 적용됩니다. 1. 학교의 졸업요건과 ABEEK 이수 기준을 동시 충족해야 졸업 가능 [수정] 가. 학사 졸업요건: 최소이수학점, 필수 교과목 취득 내역 확인(미충족시 졸업 불가) URP – 졸업모의사정: 최소이수학점, 필수 교과목 취득 내역 확인(전공, 교양), 교양영역별 취득 내역 *콘크리트 구조설계는 전공필수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이수 바랍니다. * 전공필수 교과목은 URP-졸업모의사정에서 확인 바랍니다. 나. ABEEK(최소이수학점, 필수 교과목 이수, exit interview 제출) 대상자: URP->학적기본조회->학적사항 인증전공사항 주전공 : 건설시스템 공학심화전공 1)최소이수학점 구분 입학년도 전문교양 MSC 인증전공 설계 비 고 전체 6학점 18학점 54학점 12학점 *상세 교과목은 첨부 파일 참조 2) 필수 교과목(한 과목이라도 미이수시 졸업 불가) -공학입문설계, 공업수학(1), 종합설계과제(1)or(2) -미분방정식(공업수학)을 포함한 수학 -2개 분야의 기초과학 교과목 (물리학분야, 화학분야, 생물학분야, 지구과학분야)을 이수 -4개 이상의 전공분야에서 각 전공별 2개 교과목 이상 이수하여야 함 [수정 내용] *첨부파일 참조 3) 학기 말 exit interview제출 2. 2024학년도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교양과목이 필수 해지 되었지만 ABEEK참여 학생의 경우 전문교양 및 MSC 학점을 충족시키기 위해 학과 또는 대체 교과목을 이수해야 함. ※(MSC 과목 타과 수강 인정X), (설계교과목 타과 수강 인정X (설계 학점 못 받음)), ※ 공학입문설계 타과 수강 시, 창의종합설계(2) 수강 해야함. (공학입문설계 동시 수강 인정X, 공학입문설계 듣고 창의종합설계 들어야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 2024년 신입생을 제외하고는 모두 ABEEK 졸업규정을 따릅니다. * 학사 문의: 810-2410 ABEEK 문의: 810-2430 * ABEEK 최저이수학점 축소 안내 (2024년 2월부터 적용) [변경 전] 공학교육인증 최저 이수학점(건설시스템공학) 구 분 입학년도 전문교양 MSC 전공 설계 비 고 전체 16학점 30학점 63학점 12학점 ※ 설계학점은 이수 당해 학기에 설계교과목으로 지정된 교과목에 부여된 학점을 따름. ※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는 교직과목은 공학주제(전공)에서 제외 [변경 후] 공학교육인증 최저 이수학점(건설시스템공학) 구 분 입학년도 전문교양 MSC 전공 설계 비 고 전체 6학점 18학점 54학점 12학점 ※ 전공학점은 입학년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설계학점은 이수 당해 학기에 설계교과목으로 지정된 교과목에 부여된 학점을 따름. ※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는 교직과목은 공학주제(전공)에서 제외 ※ 2024년 2월 졸업생부터 적용
042024.03
2024학년도 1학기 공학교육인증 이수 포기 신청 안내
공학교육인증 포기 신청 가. 대상 : 다른 전공을 복수로 이수 신청한 학생 (복수전공, 부전공, 학생설계전공, 융합전공, 연계전공, 마이크로전공 등) 나. 4학년 1학기 수업일수 1/4 이전에 소속 프로그램위원장이 이수 포기를 허가한 학생 다. 신청 조건 : 졸업이 한 학기 이상 남은 학생 라. 제출 서류 공학교육인증 이수포기서 서식 (학과 사무실 방문 후 이수포기서 작성) 마. 제출 기한 : 2024.3.28.(목) 이전
162023.03
공학교육인증 이수내역 확인 방법 안내
공학교육인증 이수내역 확인과 관련하여 안내드립니다. 공학교육인증 이수내역 및 취득 학점은 반드시 졸업모의사정이 아닌 아래의 방법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종합정보시스템 → 공학인증대상확인(이수내역출력)
21세기의 건설시스템공학의 선두주자양성!
학과사무실
(우)38541,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영남대학교 건설관Tel : 053) 810-2410, 2430Fax : 053) 810-4622E-mail : civil@y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