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강구조공학특론(1) ADVANCED STEEL STRUCTURES Ⅰ
(3(3))
토목공학과 2005-1 강재의 기계적특성 및 인장, 압축, 보 및 보-기둥 부재의 거동특성을 연구하고, 용접이음, 볼트접합 등의 접합부의 구조적 거동 및 설계에 관한 규정들의 이해 및 적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강구조의 기본개념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다.
강구조공학특론(2) ADVANCED OF STEEL STRUCTURES Ⅱ
(3(3))
토목공학과 2005-1냉간성형 형강 부재의 특성 및 구조적인 거동을 열간압연 형강과 비교를 통하여 연구하며 국부좌굴을 허용하는 설계법에 관한 연구를 한다. 비틂을 받는 부재 및 강합성 구조의 설계 및 시공, 구조적인 거동특성을 연구하며, 새로운 강재 및 인장 구조물, 케이블 구조물 등을 연구한다.
강구조설계 DESIGN OF STEEL STRUCTURES
(3(3))
토목공학과 2005-1 강재로 구성된 인장부재, 휨부재, 압축부재, 보-기둥부재의 국 내외 시방규정에 따른 설계 및 강합성교, 강교 등의 도로교시방서에 따른 설계를 수행하며 물량산출, 시공방법, 도면작업에 이르는 일련의 설계과정에 대해 연구한다.
교량공학특론(1) ADVANCED BRIDGE ENGINEERING Ⅰ
(3(3))
토목공학과 2005-1 교량을 구성하는 재료 및 특성, 교량의 종류와 형식, 하중 산정방법 및 적용등과 비교적 형식이 간단한 교량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이해하고 단순형교, 슬래브교, 트러스교등 단순한 형식의 철근콘크리트 교량, 강합성교량의 설계 및 가설공법등을 연구한다.
구조동역학 STRUCTURAL DYNAMICS
(3(3))
토목공학과
동역학의 개념, 단일자유도 구조물의 동적해석을 위한 동적평형 방정식, 비감쇠 자유진동, 감쇠 자유진동, 조화하중에 의한 동적거동 및 증폭계수, 충격하중에 의한 동적거동, 동적해석을 위한 수치적 기법, 지진 하중에 대한 동적해석, 응답스펙트럼 등이 연구된다.
건축공학과
불연속적인 매개변수 시스템으로 이상화된 구조물의 힘과 변형의 해석, 해석의 정확한 방법, 근사방법, 선형 반응의 해석(반응 스펙트럼 평가)과 비선형 반응의 해석(비탄성체 거동의 영향) 등을 다룬다. 하나의 자유도를 가진 이상화된 단자유도 구조물을 먼저 다루고, 이의 선형 또는 비선형 반응의 수치해석법을 강의한다. 시간영역과 진동수영역을 선형 반응의 해석법에서 다루며 다자유도 구조물에 대해 지진반응 스펙트럼으로부터 최대반응의 결정뿐만 아니라 선형반응의 모드해석법과 단순화된 근사해석도 연구한다.
구조동역학특론 ADVANCED STRUCTURAL DYNAMICS
(3(3))
토목공학과 2005-1다자유도 구조물의 동적해석, 강성도와 질량 및 감쇠행렬의 계산, 모우드의 직교성 및 정규화 모우드 중첩법을 사용한 동적해석, 다자유도계의 응답스펙트럼해석,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동적해석 예를 주로 다루며 시간적분법, 영역해석, Random 진동특성을 파악한다. 경계조건하에서도 수치적 근사해를 구할 수 있게 하였다. 행렬의 연산, 고유치 문제, 연립방정식 및 미분방정식의 해법, 보간법, 회귀분석 및 수치적분법 등을 다룬다
구조물의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STRUCTURES
(3(3))
토목공학과 2005-1 구조물 설계 최적화의 기본 원리 및 개념, 설계 변수의 결정 및 목적함수의 결정, 각 변수에 따른 목적함수의 민감도 분석, 최적 설계 알고리즘, 보, 트러스, 아치 등 단위 구조부재의 최적화 설계, 강구조, 철근 콘크리트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강-콘크리트 합성형구조 등 재료에 따른 최적설계의 특성 등을 연구한다.건축공학과 주어진 하중과 여러가지 설계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서 가장 경제적인 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기법을 강의한다.
구조해석특론 ADVANCED STRUCTURAL ANALYSIS
(3(3))
토목공학과
연속체 역학의 기초, 보이론의 유도, 구조물의 변형, 구조물의 정역학 및 동역학과 좌굴현상에 에너지 원리의 적용, 가상일의 원리, 변분이론의 기본개념, 매트릭스 구조해석법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물의 해석과 고유치 문제 등을 공부하여 학부에서 배운 기본역학의 영역을 확장하여 대학원 구조과목의 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기초과목이다.
건축공학과/건축학과2008-1
응력법(유연도법)과 변위법(강성도법)에 의한 구조해석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적합한 매트릭스법을 제시한다. 가상일, 실제 보완 에너지 그리고 구조해석의 다른 고전적인 이론에 대한 강의로서 구조해석에서 가상일의 원리 사용과 가상일의 두 계(系)즉 가상응력과 가상변위를 사용한다. Clapeyron, Betti, Maxwell, Castigliano, Muller-Breslau 그리고 에너지 이론을 포함하는 구조이론의 고전적인 이론을 논의하며 일반화된 응력법, 여력의 선택, 여력군 그리고 직접 강성법의 논의를 포함하는 응력법과 변위법에 의한 해석에서 대칭성의 이용방법 등을 논의한다.
기초공학특론(1) ADVANCED FOUNDATION ENGINEERING Ⅰ
(3(3))
기초지반 및 성토재료의 현장조사 및 실내시험에 관련된 제반 기법을 습득하고 원위치 추정 강도와 실내시험 결과의 비교분석, 매설 구조물 및 말뚝 기초의 지지력 해석, 지하수위 변동 및 현장 시공시 지반 교란의 영향을 고려한 지반 거동해석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기초공학특론(2) ADVANCED FOUNDATION ENGINEERING Ⅱ
(3(3))
지진, 교통하중, 조위변동 및 지하수위변동 등을 받을 경우 지반의 거동, 흙구조물과 지반의 동적상호 작용에 대하여 강의하고, 흙구조물의 설계, 안정검토 등에 관하여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하며 기초지반의 거동 예측과 현장계측결과와의 관계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
내진구조해석 SEISMIC ANALYSIS OF STRUCTURES
(3(3))
토목공학과 2005-1지진의 특성 및 지진 피해 분석, 등가정적해석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계하중, 지역계수, 중요도 계수, 동적계수 및 기본진동주기, 지반계수, 반응수정계수 등을 살펴본다. 우리나라의 내진설계기준을 고려한 동적해석법의 적용, 유사동적해석법, 지진해석예, 내진구조계획 등에 대해 연구한다.
상하수도계획특론 ADVANCED COURSE IN WATER SUPPLY AND SEWAGE PLANNING
(3(3))
도시 기반시설의 근간이 되는 상하수도 시설에 대한 그 기본계획의 수립에 있어서 필요한 기본조사 및 수요예측의 기법과 각 프로세스의 결정방법, 계획요소의 특성, 구조적 계획 등을 다룬다. 또 현재의 각 계획에서의 문제점을 실례를 통해 다루고 그 해결방안을 위한 각종의 접근 방법들의 제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소성론 THEORY OF PLASTICITY
(3(3))
토목공학과 2005-1비탄성영역에서의 부재의 응력-변형관계, 하중-변위관계, 소성, 탄성거동, Strain-Hardening, Strain Reversal 등의 기본적인 이론을 소개한다. 여러 가지 항복기준과 Prandtl-Reuss식, 소성변형률 산정을 위한 증분소성이론이 다루어지며 2차원 문제에 적용되는 예를 연구한다. 비선형의 정식화 및 실제구조물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이용한 재료 비선형해석법 등이 포함된다.
수문수자원설계론 HYDROLOGIC AND WATER RESOURCES DESIGN
(3(3))
수문 및 수자원의 이용을 위한 계획, 관리 등에 필요한 방법론을 연구하고, 수자원 개발에 관련된 설계방법론을 연구한다.
암반역학(1) ROCK MECHANICS Ⅰ
(3(3))
암반의 분류, 연속체역학의 기본이론, 암석의 물리적성질과 시험법, 암석의 역학적성질 및 시험법, 암석의 강도 및 파괴기준, 암석의 변형특성과 관련되 역학적 모형, 암반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암반불연속면의 특성과 조사방법 등을 연구한다.
암반역학(2) ROCK MECHANICS Ⅱ
(3(3))
절리가 발달된 암반구조의 조사, Mapping 및 암반의 공학적 분류기법, 평사투영법을 이용한 암반 불연속면의 표시와 모델화기법, 암반불연속의 역학적성질, 암반내의 응력-변형해석이론, 암반사면의 안정해석 및 대책공법 등을 연구한다.
유한요소법의기초 FUNDAMENTALS OF FINITE ELEMENT METHOD
(3(3))
유한요소법의 기본개념, 직접강성도법, 변분법 및 가중잔차법 등의 정식화방법, 형상함수, 수치적분, 휨요소의 유도 등의 유한요소법의 기본분야를 연구한다.
토목공학과 2005-1
변위법에 근거한 유한요소법의 기본개념, 직접강성도법, 변분원리, 가중잔차법을 이용하여 1차원 2차원 및 3차원 연속체 문제에서 유한요소 방정식을 유도하는 정식화 과정이 연구된다. 요소의 종류 및 형태, 형상함수, 수치적분 등 일반적인 유한요소해석의 기본분야를 연구한다.
유한요소법의응용 APPLICATIONS OF FINITE ELEMENT METHOD
(3(3))
토목공학과 2005-1
2차원 탄성체, 평판 및 쉘구조, 축대칭구조해석을 위한 유한요소이론을 공부하여 유한요소해의 수렴조건의 종류 및 검사방법, 요소방정식의 적분시 발생되는 의사 영에너지모드, 방정식 조립해법, 2차변수의 계산 등이 주로 다루어지며 동적유한요소해석, 비선형유한요소해석의 기본이론이 연구된다. 아울러, 전산기를 이용한 구조해석이 수행된다.
철근콘크리트설계특론(1)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DESIGN Ⅰ
(3(3))
토목공학과 2005-1구조물의 설계개념 및 설계법 특성, 구조 설계를 위한 재료 비선형 구조해석 및 기하비선형 구조해석, 철근콘크리트의 재료성질, 철근콘크리트 구조 해석 및 설계의 기본가정, 휨부재의 모멘트-곡률해석, 기둥의 모멘트-곡률해석, 보와 기둥의 휨강도 정밀해석 및 간략식,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휨연성지수, 단주의 설계, 장주의 해석 및 설계, 휨부재의 처짐해석, 휨균열해석 및 철근 상세 등을 연구한다.
철근콘크리트설계특론(2)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DESIGN Ⅱ
(3(3))
토목공학과 2005-1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탄성 거동 및 해석, 크리프 및 건조수축의 정밀해석 및 각국 시방서상의 크리프 계수, 비균열 단면 및 균열단면에 대한 크리프 해석,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처짐 해석, 보의 전단 강도 해석 및 전단설계,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특성 및 정착설계, 깊은보 및 코벨설계,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철근 상세설계 등을 연구한다.
측지공학특론 ADVANCED GEOMETIC SURVEYING
(3(3))
지도의 수치화, 좌표계의 전개, 디지타이징, 입체도화, 스캔닝, 원격탐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파일 변환, GIS와의 통합, 자료 개발 등에 관한 방법을 소개한다.
콘크리트공학특론 ADVANCED CONCRETE ENGINEERING
(3(3))
토목공학과 2005-1
콘크리트의 재료구성, 골재, 시멘트, 혼화제 등의 재료성질,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메카니즘, 굳지 않은 콘크리트와 굳은 콘크리트의 특성,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크리프와 건조수축 등 시간의존적 재료의 성질, 압축강도, 인장강도, 피로강도 등의 역학적 성질, 강도변화에 따른 압축응력-변형도 곡선의 특성 등을 연구한다.
탄성안정론 THEORY OF ELASTIC STABILITY
(3(3))
토목공학과 2005-1
기둥의 좌굴이론, 보의 휨좌굴 및 판요소의 좌굴이론과 보-기둥의 지배방정식, P- 효과 및 고유치 문제로를 통한 좌굴문제의 여러가지 해석방법을 연구하고, 전체구조물의 안정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 소법을 이용한 좌굴해석문제 및 후좌굴문제를 연구한다.
터널공학 TUNNEL ENGINEERING
(3(3))
지반조건 및 기능에 따른 터널의 분류, 터널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한 지반조사기법, 터널 설계시 굴착단계별 지반의 응력-변위 해석기법, 터널응력해석에 사용될 입력변수 결정을 위한 지반 특성치(원위치)시험, 절리가 발달된 암반의 공학적 분류체계와 터널의 단면설계 및 시공방법(Natm공법 등)을 연구한다.
토목지질학 ENGINEERING GEOLOGY
(3(3))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지반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운반매체에 따른 퇴적층의 구분 및 공학적 특성, 생성과정에 따라 분류되는 암석의 종류 및 성질, 지질구조의 종류 및 생성원인, 지하수의 이동등을 연구한다. 또한 암석의 광물성분 조사, 지질도의 작성요령, 저수지 및 댐 등의 지질조사기법 등을 공부한다.
파괴역학 FRACTURE MECHANICS
(3(3))
토목공학과 구조물의 심한 응력특이를 유발하는 균열의 발생메카니즘과 균열선단부의 응력장 및 변위장의 정의에 대해 연구하며, 응력확대계수 K를 산정하는 에너지법, J-적분법, 변위법 등에 대해 살펴본다.또한, 반복 하중을 받는 강구조물의 피로해석을 위해 선형탄성파괴역학이론 및 탄소성파괴역학이론에 대해 소개하며, 유 한요소법 등의 수치해석법이 다루어진다.기계공학과 균열주위의 탄소성 응력해석, 응력확대계수 및 에너지 해방률 등 파괴역학 변수들의 개념 및 결정법, 파괴인성치의 개념 및 실험해석법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현장계측기법 FIELD INSTRUMENTATION
(3(3))
토목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 이론적인 한계를 설계거동을 측정하여 Feedback 시키기 위한 분야로써, 계측의 필요성을 재조명해보고, 체계적인 계측 Program수립기법, 계측항목별 장비의 종류 및 특성, 구조물별 계측계획 연구, 계측결과의 분석 및 활용방법 등을 연구한다.
교량공학특론(2) ADVANCED BRIDGE ENGINEERING Ⅱ
(3(3))
토목공학과 2005-1 비교적 형식이 복잡하고 설계 및 시공이 난해한 P.S콘크리트교량, 현수교 및 사장교등 장대교량, 철도교와 같은 특수교량의 설계, 구조적인 거동 및 시공법을 연구하며, 또한 최근에 그 건설이 증가하고 있는 강상 판교량의 거동 및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비선형구조해석 NONLINEAR STRUCTURAL ANALYSIS
(3(3))
기하비선형 : Lagrangian and Eulerian 좌표계 , Green의 변형텐서와 Piola-Kirchhoff의 응력텐서 , Almansi와 Cauchy의 변형텐서
재료비선형 : 증분 소성론 , Prandel-Reuss 방정식 , 변형경도법칙 , 연관 된 소성흐름 , 등방성 경도 , 항복기준 , 초기강성도법과 법 선강성도법 , 증분선형화도표
위의 내용을 토대로 비선형 문제에 대한 수치해석적 방법을 소개한다.
토목공학과 2005-1
탄소성 재료 및 대변형 이론을 적용한 비선형성, 비선형 응력-변형관계의 정식화, Lagrangian법에 의한 비선형 정식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물의 비선형해석 및 Arc-Length Method등 새로운 해석법과 비선형성에 기인한 특수한 문제인 극한점, 분기점 등의 해석 문제를 연구한다.
건설재료학특론 ADVANCED CONSTRUCTION MATERIALS
(3(3))
토목공학과 2005-1
본 교과는 건설재료의 분류에 따른 특성을 연구하며 구조물의 열화로 인한 노후구조물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보수 및 보강공법이 소개된다. 아울러, 구조물에 손상을 주는 구조적, 재료적,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다.
수자원세미나 WATER RESOURCES SEMINAR
(3(3))
수자원 문제의 기초이론과 그 해석방법에 대한 세미나를 실시하고 문제점의 도출과 해석방법론 등을 토론하여 수자원에 관한 Project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연구한다.토목공학과 2005-1 지구상의 수자원 공간적 분포와 배분, 시간적 발생패턴과 저장, 수자원 수송 등에 관한 광역적 거시적 해석기법을 연구하고 우수의 활용, 해수의 담수화, 지하수 활용 등의 대체 수자원의 개발기법을 연구하며 수자원의 경제적, 사회적 가치와 홍수의 자원화 기법을 토론한다.
쉘이론 THEORY OF PLASTICITY
(3(3))
토목공학과 2005-1쉘구조의 기본가정, 지배방정식과 경계조건, Membrane Action과 Bending Action, 대칭하중을 받는 원통형 쉘의 해석, Conical쉘, Spherical쉘 구조에 대해 막이론과 곡면해석에 희한 해석법을 연구한다. 또한 Thin Shell과 Thick Shell, Deep Shell과 Shellow Shell의 거동 특성을 살펴보고 수치해석 기법을 설명한다.
이론토질역학(1) THEORETICAL SOIL MECHANICS Ⅰ
(3(3))
흙의 거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이론에 대하여 다루며, 소성론의 기초 이론, 항복규준, 흙의 탄성/비탄성 구성관계를 학습한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 진보적인 구성관계와 흙의 실제 거동간의 비교 연구를 수행한다.
이론토질역학(2) THEORETICAL SOIL MECHANICS Ⅱ
(3(3))
지반재료의 거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들에 대하여 다루며, 한계상태 이론(Critical State Theory)과 한계해석론(Limit Analysis)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이론적 토대를 갖춘 후 연약지반 분석기법 및 지반공학 문제의 안정성 해석에 대한 연구에 적용한다.
전산토질역학 COMPUTATIONAL SOIL MECHANICS
(3(3))
지반공학문제에 대한 계산을 다루며 기본적인 OA 도구의 이용, 수치해석기법의 이해, 유한차분/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예제해석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반조사자료의 분석, 사면안정해석, 말뚝기초해석, 투수해석, 압밀문제해석을 다룬다.
지반개량특론 ADVANCED GROUND IMPROVEMENT
(3(3))
건설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적합한 지반 조건에 대해서 정적, 동적 공법 적용 및 천층, 심층 개량 공법 적용과 혼화재, 신소재 적용 등에 의해서 최적의 지반 조건을 형성하기 위한 제반 사항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지반공학특론 ADVANCED GEOTECHNICAL ENGINEERING
(3(3))
흙의 공학적인 특성의 이해를 도모하고 지반응력의 분포특성을 검토하여 얕은기초, 깊은기초, 항만구조물, 가설구조물 등의 설계, 시공 기법 교육
평판이론 THEORY OF PLATES
(3(3))
토목공학과 2005-1 고전적 판이론인 Kirchhoff Theory의 기본가정, 지배방정식과 경계조건, 응력-변형도 관계, Fourier Series와 Airy’S Stress Function에 의한 사각형 및 원형판의 해석, Reissner-Mindlin의 판이론, 에너지법을 사용한 평판해석과 수치해법을 연구한다.
현장조사및시험 SITE INVESTIGATION
(3(3))
현장조사계획, 현장 원위치 시험, 샘플링 및 채취 시료에 의한 실내 시험을 실시하여 물리, 역학적인 지반의 특성을 검토함과 동시에 최적의 설계 정수 도출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개별연구(1) INDEPENDENT STUDY (1)
(3(3))
이 강좌는 석사학위과정 학생에 한하여 수강할 수 있으며, 학위논문 작성이나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구체적인 연구와 관련된 주제를 대상으로 이를 심화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하였다. 본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은 담당교수와 주기적으로 만나 자신의 연구진행상황을 보고하여야 하며, 학기말에 그 결과물을 보고서 형태로 제출하여야 한다.
개별연구(2) INDEPENDENT STUDY (2)
(3(3))
이 강좌는 박사학위과정 학생에 한하여 수강할 수 있으며, 학위논문 작성이나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구체적인 연구와 관련된 주제를 대상으로 이를 심화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하였다. 본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은 담당교수와 주기적으로 만나 자신의 연구진행상황을 보고하여야 하며, 학기말에 그 결과물을 보고서 형태로 제출하여야 한다.
특수문제연구(1) SPECIAL STUDY (1)
(3(3))
이 강좌는 각 전공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최신 학문분야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전공과 연계된 학제간 성격의 교과목으로도 개설된다.
2010-1
급부상하는 새로운 소재, 합성기술, 가공기술 등 특수문제 학습.
특수문제연구(2) SPECIAL STUDY (2)
(3(3))
이 강좌는 각 전공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최신 학문분야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전공과 연계된 학제간 성격의 교과목으로도 개설된다.
2010-1
급부상하는 새로운 소재, 합성기술, 가공기술 등 특수문제 학습.
특수문제연구(3) SPECIAL STUDY (3)
(3(3))
이 강좌는 각 전공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최신 학문분야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전공과 연계된 학제간 성격의 교과목으로도 개설된다.
2010-1
급부상하는 새로운 소재, 합성기술, 가공기술 등 특수문제 학습
PS콘크리트설계특론 ADVANCED PRESTRESSED CONCRETE DESIGN
(3(3))
토목공학과 2005-1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기본개념 및 원리, 재료의 성질, Pc강재의 긴장방법 및 장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설계개념, 시공단계별 설계검토사항, 긴장력의 손실, 휨부재의 응력해석 및 휨강도 해석, 휩부재의 비탄성거동 및 Pc강재의의 응력변화, 부정정 구조물의 긴장력에 의한 2차모멘트 해석, 크리프에 의한 단면력 변화 메카니즘, 시공단계별 구조해석 및 크리프해석, 극한모멘트 산정방법, Pc구조물의 전단강도 및 설계, Pc강재의 정착구 해석 및 설계 등을 연구한다.
환경관리현안문제세미나 SEMINAR IN ENVIRONMENTAL MANAGEMENT
(3(3))
토목공학과 2005-1
지표수, 지하수 및 토양환경오염 관리기법과 최신기술;
현안문제점에 대한 문헌조사; 세미나, 과제물 및 시험에 의한 평가
신재생에너지특론 ADVANCED TOPICS IN NEW RENEWABLE ENERGY
(3(3))
이 강좌는 환경기초시설의 탄소중립과 에너지 자립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수소, 태양광, 풍력, 바이오, 해양, 지열, 소수력, 폐기물)와 환경친화적 저탄소 기술 그리고 이와 관련한 정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개수로수리학 OPEN CHANNEL HYDRAULICS
(3(3))
개수로의 상류 및 하류조건하에서의 정류, 부정류에 대한 이론, 부정류에 의한 파의 발생 및 전파에 대한 기초원리와 수치해석 프로그램 작성을 통한 이론적 문제접근 방법 및 해결능력을 배양하여 개수로 관련 수공구조물 설계능력을 높인다.
유역모형화기법 WATERSHED MODELING
(3(3))
본 강의는 집중형 및 분포형 유역모형의 고찰을 통해, 수치지형자료처리, 유역구분, 유역특성분석, 수문과정모의에 대한 기본 및 고도화된 유역모형화 개념과 기술을 소개한다.
수문기상학 HYDROCLIMATOLOGY
(3(3))
본 강의는 강우과정, 지표-대기 순환, 지표에너지 순환, 증발산, 토양 열 및 수분 순환 등에 대한 수문순환과 관련된 물리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수치유체역학 NUMERICAL FLUID DYNAMICS
(3(3))
본 강의에서는 수치적인 방법을 이용한 유체역학을 소개한다. 기초적인 유체동역학과 운동학 및 프로그래밍, 자료취득 및 시각화에 대하여 학습한다.
건설시스템공학과세미나 SEMINAR IN CIVIL ENGINEERING
(1(1))
건설시스템공학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원생 중에서 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 관련된 논문 주제의 주요 연구 내용을 발표하고, 유사 주제 및 다른 주제로 연구하는 다른 학생들과 다양한 토론을 통하여 더욱 향상된 학위 논문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스마트내진설계 SMART SEISMIC DESIGN
(3(3))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진동에 의한 구조물의 지진해석 방법으로서 단일 자유도 구조물의 진동해석, 다자유도 구조물의 진동해석, 지진동에 대한 설계하중 결정법, 지진하중에 대한 시간-이력 해석과 응답스펙트럼 해석 등 지진해석을 연구하고, 구조물 내진설계의 기본 개념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설계방법 교육
구조물건전성모니터링시스템 SAFETY AND RELIABILITY OF STRUCTURES
(3(3))
빅데이터, AI를 이요한 안전의 개념 및 정의, 하중의 크기 및 분포의 통계학적 처리기법, 구조물의 강도에 대한 통계학적 처리기법, 안전계수 및 신뢰성지수의 개념 및 산정방법, 구조물의 파괴 확률 해석, 하중계수 조합 및 저항계수에 대한 각 시방서조항의 이론적 배경, 건물 및 교량 등 구조물의 안전진단 및 검사법 등에 대한 교육
인프라구조시스템특론 ADVANCED OF INFRA STRUCTURE SYSTEM
(3(3))
냉간성형 형강 부재의 특성 및 구조적인 거동을 열간압연 형강과 비교를 통하여 연구하며 국부좌굴을 허용하는 설계법 및 비틂을 받는 부재 및 강합성 구조의 설계 및 시공, 구조적인 거동특성을 연구하며, 스마트 건설용 새로운 강재 및 인장 구조물, 케이블 구조물 등에 대한 교육
기계학습기반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STRUCTURES
(3(3))
기계학습 및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구조물 설계 최적화의 기본 원리 및 개념, 설계 변수의 결정 및 목적함수의 결정, 각 변수에 따른 목적함수의 민감도 분석, 최적 설계 알고리즘, 보, 트러스, 아치 등 단위 구조부재의 최적화 설계, 강구조, 철근 콘크리트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강-콘크리트 합성형구조 등 재료에 따른 최적설계의 특성 등 교육
스마트흙구조물설계 DESIGN OF SMART SOIL STRUCTURES
(3(3))
센서 및 ICT 기술을 활용한 흙댐, 방조제, Tunnel, 옹벽, 흙막이공 등의 설계기법에 대한 교육 및 압밀촉진공법, 치환공법, 보강 공법, 말뚝기초공법등 각종 연약지반개량공법에 대한 메카니즘 정립, 이론적 해석기법, 최적설계기법 및 실제 지반의 적용
건설빅데이터분석 BIG DATA ANALYTICS FOR CONSTRUCTION
(3(3))
본 강의는 건설프로세스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빅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이를 위하여 건설 빅데이터의 수집과 저장, 전처리와 분석, 해석과 활용을 중심으로 건설산업에서 빅데이터 활용사례에 대해 학습한다.
스마트건설공학특론 ADVANCED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3(3))
스마트건설공학특론은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스마트건설기술들에 대해 최근 연구동향 및 실용화 현황을 살펴보고 기존 토목공학기술과의 연계성과 건설현장의 적용성을 검토하여 스마트건설기술의 실무적용 역량을 함양한다.
수공학특론 HYDRAULIC ENGINEERING
(3(3))
수리모델, 실험설비 및 기기의 설계 및 개발, 유체흐름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계획, 자료의 수집과 분석 등 수공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물의 흐름현상과 수리역학적인 현상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모형설계, 제작실험 및 해석방법
지속가능물환경관리 SUSTAINABLE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3(3))
물관리 개요 및 페러다임의 변화; 모델링의 기초; 오염원의 발생및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물환경기준; 환경영향평가(EIA); 물환경 관리기법 및 전략; 총량규제(TMDL) 및 오염부하의 할당; 물질수지; 오염물의 이동; 수원별 수질관리 및 모델링
수질관리공학특론 ADVANCED WATER QUALITY ENGINEERING
(3(3))
이 강의는 수질공학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고도화된 최첨단 물환경 기술개발 현황과 적용에 대해 학습한다.
고도처리특론 ADVANCED WATER TREATMENT
(3(3))
이 강좌에서는 안전한 물을 생산하기 위한 최상의 물 처리 방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기술적 지식을 제공한다.
수질공학 WATER QUALITY ENGINEERING
(3(3))
수질 공학은 생물학적, 물리화학적 폐수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의 이론, 설계, 모델링 및 운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한다.
환경기술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TECHNOLOGY
(3(3))
이 강좌에서는 다양한 환경 오염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녹색 과학과 첨단 혁신기술의 발전과 적용에 대한 이해를 다룬다.
수문학특론 HYDROLOGICAL ANALYSIS AND MEASUREMENT
(3(3))
물의 순환과정을 비롯한 수문학의 기초이론과 그 분석방법 및 수문량의 관측방법과 그 해석방법을 연구한다.
건설안전관리특론 ADVANCED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3(3))
본 강의는 건설사업의 안전관리를 위한 기본이론과 실무적 안전관리 방안을 학습한다. 이를 위하여 건설안전 관련 정책 및 제도, 안전관리기법,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안전관리기술, 위험성평가방법, 설계안전성검토 및 사고사례 기반 안전관리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건설리스크관리특론 ADVANCED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3(3))
건설사업 과정 중에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리스크를 분류하고 이를 계량화하여 분석하는 실무적 기법과 리스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처방안 및 관리기법을 살펴봄으로써 건설사업 수행 과정 중 요구되는 주요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역량 교육 및 국내외 PPP 사업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개념과 실무적용 교육
건설관리세미나 CONSTRUCTION MANAGEMENT SEMINAR
(3(3))
각 세부 특성화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한 설계 기법과 PM 지식을 융합하여 산학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써 실습을 통한 설계 및 PM 기술의 실무적용성 강화 교육